수능 출제위원이 학원에 문제를 만들어 팔아 돈을 번다는 소문이 사실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무려 5억 원 가까이 받은 교사도 있었는데 양심을 판 교사 앞에 수능 공정성을 위한 비밀유지 서약은 아무 소용이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사건, 좀 더 알아봅니다.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현아 기자. <br /> <br />출제위원 경력이 돈벌이로 쓰였다는 건데, 현직 교사 24명이 적발됐죠. <br /> <br />5억 가까이 받은 교사도 있다던데, 어떻게 된 겁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선, 이번 사건을 정리하면 학원에 문제를 판 현직 교사 가운데 24명이 수능 또는 모의평가에 출제위원으로 참여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교육부는 이 중에 문제를 내고 수능 출제위원으로 참여했던 교사 4명은 즉시 고소하고 이들 중 2명을 포함해 22명은 수사 의뢰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 가운데는 억대 돈을 받은 교사도 다수였고 최대 5억 원 가까이 챙긴 사람도 있었다고 교육부는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5억 원 가까이 받은 교사는 수도권 지역 수학교사로 대형 입시학원 7곳 등에 문제를 팔았는데, <br /> <br />최근 수년간 수학 킬러 문항이 상위권 당락을 좌우하면서, 출제위원으로서 몸값을 더욱 높였던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이렇게 거액을 받아 챙기면서도 24명 중에 영리 행위 겸직 허가를 받은 교사는 단 2명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5억 가까이 받은 교사 역시 마찬가지였는데요. <br /> <br />대부분 몰래, 문제 팔이를 하면서 거액을 챙긴 겁니다. <br /> <br /> <br />출제위원 경력 팔이를 한 게 24명이란 얘기인데 그런데 왜 4명은 바로 고소했는데 나머지 교사들은 수사 의뢰 절차를 밟게 된 겁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해당 교사들이 문제를 판 시점과 출제위원으로 일한 시점에 차이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고소된 4명은 학원에 문제를 낸 뒤에 수능 또는 모의평가 출제위원으로 참여했고 <br /> <br />반대로 수사 의뢰된 22명은 출제위원으로 일한 뒤 학원에 문제를 팔았습니다. <br /> <br />즉, 고소된 4명은 출제위원 자격 심사에서 거짓말을 해 잘못된 출제위원을 뽑게 했기 때문에 수능시험업무 방해 혐의로 즉각 고소가 가능했고, <br /> <br />22명은 출제위원 뒤 문제를 팔아서 출제위원으로 일하기 위해 작성했던 비밀유지 의무 및 참여 경력을 이용한 영리 행위 금지 서약을 위반한 것으로 보이는데 <br /> <br />이에 대해서는 '출제과정에서 인지한 모든 사실을 비밀로 한 채' 별개의 문제를 팔았다거나 '경력을 내세우지 않고' 활동했다는 등의 방어도 가능해서,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현아 (kimhah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92013163359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